현악기의 셋업 – Bridge
브릿지(Bridge)는 현(strings)의 진동을 받아 그 진동을 악기로 전달하는 역활과 현의 압력을 지지하면서 연주시 활의 움직임이 편하도록 현의 높이와 간격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브릿지(bridge)는 연주자에게는 연주의 편의성과 소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부분이지만 악기 수리 전문가들에게는 작업 후 자신의 이름을 새기는 유일한 부분이기도 하다. 그만큼 악기의 셋업(set-up) 작업에서 가장 중요하고 세심하게 작업되는 부분인 것이다.
악기의 중앙에 세워져 있는 브릿지(bridge)는 윗면이 곡선 형태로 되어 있어 줄의 높이 차이와 줄의 간격을 일정하게 만들어 연주를 하기 쉽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줄의 진동을 악기에 전달하는 역활을 하는데 브릿지의 재질, 두께 그리고 깍은 모양에 따라 음색에 많은 차이가 생길 수 있다.
- 브릿지(bridge)의 위치

브릿지(bridge)는 일반적으로 양쪽 f-hole의 안쪽 뾰족한 부분(notch)을 연결한 선의 중앙에 위치하고 이 부분을 STOP이라고 부른다. 또한 STOP은 악기의 아칭(arching)에서 가장 높은 부분을 의미한다.
앞판 edge 끝에서 STOP까지의 거리를 STOP length<그림2의 C>라고 부르는데 이 길이를 기준으로 브릿지(bridge)의 위치를 결정한다.
1900년대 이전에는 악기나 연주자에 따라 또는 악기를 수리하는 사람에 따라 브릿지(bridge) 의 위치가 조금씩 다른 경우가 있었는데 1930년대 이후로는 대부분의 바이올린이 현재 사용하는 치수인 195mm를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브릿지(bridge)의 위치를 정할 때 STOP length만큼 중요한 치수가 Neck length<그림2의 B>이다. STOP length와 Neck length는 일정한 비유을 유지하는데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경우 B:C=2:3, 첼로의 경우는 B:C=7:10의 비율을 이룬다.
즉 바이올린의 경우 Neck length는 13cm, STOP length는 19.5cm이다. 16인치(406mm)비올라의 Neck length는 14.6cm, STOP length는 22.2cm이고 16 1/2인치(419mm) 비올라의 Neck length는 14.8cm, STOP length는 22.5cm를 표준으로 한다. 첼로의 경우는 Neck length는 28cm, STOP length는 40cm를 표준으로 한다. 악기의 크기가 다양한 비올라와 첼로의 경우 악기에 따라 어느 정도 범위 안에서 조절이 가능하지만 그 비율은 지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STOP(f-hole)의 위치가 다른 악기들의 경우에도 표준 위치에 Bridge를 세우는 것이 좋은데 이런 경우 반드시 Neck의 길이를 같이 확인하여 연주시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표준치수를 기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또한 악기의 구조도 파악하여 악기에 적합하도록 작업되어야 한다.
- 브릿지(Bridge)의 역할
브릿지(Bridge)는 음향적으로 현(strings)으로부터 진동을 제일 처음 받아 그 진동을 악기로 전달하는 역활과 현의 압력을 지지하면서 연주시 활의 움직임이 편하도록 현의 높이 차이와 간격을 만들어 주는 역활을 한다.
<그림3>브릿지(Bridge)의 높이는 현과 지판 사이의 간격


<그림2>의 A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당한 높이를 유지해야 하며 현과 현 사이의 간격이 일정해야 하며 브릿지(Bridge)의 윗면 곡선은 <그림3>의 A,B와 같은 현의 높이 차이를 만들어 활의 사용이 편하도록 만들어 준다. 그리고 이 곡선를 기준으로 지판의 모양이 결정된다.
바이올린의 경우 현의 높이<그림2>의 A는 E현:3.5mm, A현:4.2mm, D현:4.8~4.9mm, G현:5.5mm 이다.
*브릿지(Bridge) 의 높이는 양쪽 가장자리 두 현의 높이를 기준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첼로의 경우 A현: 5.5mm, C현:8.5mm이고 비올라는 A현: 4.5mm C현:6.5mm이다.
Bridge 작업 과정
브릿지(Bridge)의 구조는 매우 작고 비교적 단순하지만. 현의 진동 에너지를 몸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최종적인 소리를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브릿지는 그 구조에 따라 진동을 전달하는 특성이 결정되기 때문에 구조변경을 통하여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리를 증폭시키거나 감쇠시켜 전체적인 배음의 균형을 조절하는 필터 혹은 오디오의 이퀄라이져(equalizer)와 같은 역할을 한다.
현재 사용되는 브릿지(Bridge)는 대부분 전문 제작 회사에서 만들어진 것들이다. 각 회사마다 나무의 종류, 나무의 등급. 나무를 처리하는 방법, 브릿지(Bridge)의 형태에 따라 수십가지 이상의 다양한 Bridge가 제작 판매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회사들로는 Aubert, Despiau, Teller, Milo Stamm 등이 있다. 현악기 제작가나 수리전문가들은 이런 수백가지의 다양한 Bridge를 전부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선호하는 디자인이나 나무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그 중에 몇가지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Bridge의 재료로는 Maple(단풍나무), Sycamore(단풍나무의 일종) 등을 사용하는데 제작회사에 따라 보즈니아산(Bosnia) 단풍나무 같은 특정 지역의 나무를 사용하기도 한다.일반적으로 Bridge는 잘 마르고 단단한 나무로 만들어진 것을 선호하는데 이런 나무로 만들어야 외부의 영향에 의한 변화가 적기 때문이다.

- 브릿지(Bridge) 고르기
Bridge 작업을 할 때 제일 먼저 하는 것이 악기에 맞는 브릿지(Bridge)를 고르는 것이다. 이 때 Bridge를 고르는 기준은 Bridge의 다리 넓이이다. 바이올린의 경우 41~42mm의 Bridge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비올라나 첼로의 경우 악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Bridge를 사용하게 된다.


<그림5>에서 보는것처럼 Bass-bar에서 Soundpot까지의 거리에 A와 B를 더해주면 필요한 Bridge의 발 넓이를 알 수 있다.(여기서 A와 B의 거리는 같다.)
*브릿지(Bridge)의 발 넓이를 계산하는 방법
{F-hole 사이의 거리 – (F-hole 에서 Bass-bar까지의 거리 x 2)} + (A+B) =Bridge 발 넓이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경우 A=1.5mm이고 첼로의 경우 A=3mm로 계산한다.
첼로의 경우 발의 넓이 외에 Neck의 높이, 악기의 앞판 상태, 소리와 연주자의 성향 등을 고려하여 벨기에 스타일(Belgian)과 프랑스 스타일(French)의 Bridge중에서 어떤 것을 사용할지 결정하여야 한다.
벨기에 스타일(Belgian) – 다리가 길고 브릿지의 윗부분이 곡선으로 되어 있다. <사진1>의 하단 중앙.
프랑스 스타일(French) – 벨기에 스타일에 비해 다리가 짧고 윗부분이 각진 형태로 되어 있다. <사진1>의 하단 우측.
[참고] 브릿지(Bridge) 명칭

Bridge의 발은 악기의 표면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깎아야 줄의 진동이 정확하고 풍부하게 몸통에 전달되어 좋은 소리를 낼 수 있고 줄의 압력을 브릿지 발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켜 앞판에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 Fitting – 브릿지(Bridge) 발 맞추기
Bridge의 발을 앞판에 맞춰 깎기 위해서는 먼저 Bridge의 발의 두께를 조절해야 하는데 바이올린 Bridge의 발 두께는 4~4.5mm, 비올라는 4.5~5mm, 첼로는 11.5~12mm 정도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치수이다. Bridge의 발의 두께를 맞출 때는 뒷면을 먼저 평평하게 깎은 후 그 면을 기준으로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Bridge는 발의 두께에 따라 전체적인 두께가 좌우되는데 두께가 얇을수록 섬세하지만 파워가 약하며 음의 응집력이 떨어지게 되고, 두꺼워지면 음의 표현력이 떨어지고 반응이 둔한 소리가 만들어진다.

Bridge의 두께를 맞춘 다음에는 Bridge의 발을 악기의 앞판과 일치하도록 깎아주어야 한다. 이 작업 하기 위해서는 Bridge의 위치를 악기의 앞판에 표시해 주어야 하는데 악기의 바니쉬(varnish)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부드러운 재질의 Glass pen(구리스펜)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Bridge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violin은 앞판 edge끝에서 19.5cm, cello는 40~41.5cm이고, 양쪽 F-hole의 중앙에 위치한다.(그림3) 비올라의 경우 악기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다.
Bridge의 발을 맞출 때는 지판의 높이와 방향을 기준으로 완성될 Bridge의 높이를 예상하여 Bridge의 발 두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깎아주여야 한다. 특히 첼로의 경우에는 바이올린, 비올라와는 달리 Bridge의 높이가 높아 발을 맞출 때 한쪽을 많이 깎게 되면 Bridge의 윗부분이 쉽게 지판의 중심에서 비뚤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그리고 Bridge의 좌우 변화 외에 브릿지가 앞이나 뒤로 기울어지지 않았는지 확인하며 작업하여야 한다. 이때 평평하게 깎은 Bridge의 뒷면이 악기의 앞판과 수직을 이루는 것이 정상이다.

또한 첼로 Bridge는 발을 맞출 때 Bridge Foot Spreader<사진2> 등을 사용하여 다리를 2~3mm 정도 더 벌려준 상태에서 발을 맞추어야 Bridge가 완성되어 줄을 걸었을 때 줄의 압력으로 Bridge의 다리가 벌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발을 충분히 벌려주지 않은 경우 줄의 압력 때문에 Bridge의 다리가 벌어지게 되고 이 때 Bridge의 발 전체가 아닌 일부만 앞판을 누르게 되어 쉽게 앞판에 변형을 줄 수 있다. Bridge의 발을 맞출 때 발의 안쪽이 바깥쪽보다 살짝 덜 닿도록 하는 것도 줄이 걸렸을 때 압력을 고르게 만드는 좋은 방법 중에 하나이다.
- 브릿지(Bridge)의 높이와 윗면 곡선 만들기
Bridge의 높이는 현과 지판 사이의 간격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당한 높이를 유지해야 하며 윗면 곡선은 활에 의하여 두 개의 선이 한꺼번에 연주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일정한 곡면의 형태를 가져야 한다. Bridge 상단의 커브는 지판과 줄과의 간격을 고려하여 바이올린 E현은 3.5mm, G현은 5.5mm의 높이가 되게 표시한 후 각 점을 Bridge template(그림7) 등을 이용하여 연결한다.(첼로의 경우 A현: 5.5mm, C현:8.5mm이고 비올라는 A현: 4.5mm C현:6.5mm이다.) *브릿지(Bridge)의 곡선은 지판의 곡선을 기준으로 한다.

- 브릿지(Bridge) 두께 조절
Bridge 커브가 정해지면 그다음으로 Bridge의 전체적인 두께를 조절한다.
발부분은 손대지 않고 윗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얇아지게 깍아야하는데 Bridge의 중앙부분이 약간 도톰하게, 사이드 부분은 중앙보다 얇게 깍는다. Bridge 윗부분 끝의 두께는 약 1-1.2mm정도이다.(비올라 약 1.5mm, 첼로 약 2.5mm) 이때 앞면 중앙을 기준으로 자를 Bridge의 표면에 댓을 때 Bridge의 표면에 평평한 부분이 없이 전부 곡선으로 이루어지는게 가장 이상적이다. Bridge의 두께 조절은 소리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적절한 두께 조절은 Bridge가 잘 휘지 않도록 하는 역활도 한다. 일반적으로 Bridge는 얇고 가벼울수록 소리가 밝고 직선적으로 나서 좋다고 알려져 있으나 연주중 갑작스러운 파손이나 오랜시간 서서히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강성을 유지하 는 것이 중요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적절한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 브릿지 장식 커팅(Bridge Trimming)

두께 조절이 끝나면 Bridge 작업 중 마무리 단계인 Bridge Trimming(장식 커팅)을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그림8>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들을 적절하게 깎아 Bridge의 모양을 보기좋게 만들어주는 작업이다. 그러나 이 작업은 단순하게 Bridge의 외형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악기의 소리를 조절하는 역활도 한다.
이러한 Bridge의 음향 역활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Bridge Trimming을 하기 전과 후의 Bridge의 진동수(frequency)에 약 2~30%정도 차이가 있다고 한다. 또한 이런 변화는 진동수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Bridge의 진동 패턴에도 변화를 준다고 한다. 즉, Bridge Trimming을 하는 방법에 따라 브릿지의 진동수와 진동하는 패턴이 달라져 현에서 전달된 진동이 Bridge를 통과하는 동안 변형되어 악기의 울림통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런 변화를 잘 이용하여 작업하면 Bridge 작업을 통해 악기의 소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Bridge의 구조는 악기의 울프(wolf)현상과 악기의 반응성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울프현상이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킄 진동이 발생하여 현의 주기적인 진동이 규칙적이지 않게 변하여 좋지 않은 소리가 나는 현상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울프 제거기(wolf eliminator)를 이용하여 진동을 줄이는 방법이 일반적이지만 원하지 않는 음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는 부작용이 있다. 소수의 악기제작자들은 Bridge를 이용하여 울프현상을 조절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체계적인 밥법은 알려진 바가 없다.
- Finishing
악기에 알맞은 Bridge Trimming이 완성되면 Bridge 상단에 현이 걸릴 홈을 판다.먼저 바이올린의 경우 G현과 E현의 간격을 정하여 홈을 내고 그 다음 나머지줄을 올려서 캘리퍼로 줄 사이의 간격을 재면서 D현과 A현의 홈을 정한다. 이 때 줄과 줄사이의 간격은 일정해야 하고 홈의 깊이는 줄 두께의 1/3정도만 파는게 이상적이다. 바이올린 E선, 비올라 A선, 첼로 A,D선이 걸리는 홈 위에 얇은 가죽(Bridge protector, Drum skin) 같을 것을 붙여 줄이 Bridge 나무 속으로 쉽게 파고 들지 못하도록 보호해 준다. 그리고 줄이 걸리는 부분에는 연필심 등을 칠하여 줄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Bridge의 표면을 고운 사포(sandpaper) 등을 이용하여 매끄럽게 만들고 오일이나 쉘락 같은 것들을 Bridge의 표면에 얇게 발라 Bridge가 외부 습기 등에 의해 쉽게 변하지 않도록 보호해 주기도 한다. Bridge 장식을 마무리 한다.
마지막으로 Bridge 에 작업한 사람의 스탬프를 찍으면 브릿지 작업은 완성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