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렇게 라이닝(linings)을 접합할 홈을 다 판 후에는 라이닝(linings)을 준비한다. 라이닝(linings)은 보통 옆판보다 부드러운 나무를 사용하는데 주로 버드나무나 앞판의 재료인 가문비나무를 사용한다. 길이는 옆판과 비슷하고 두께는 약 2mm 높이는 6~7mm 정도이다. 라이닝은 얇은 옆판의 변형을 막으며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앞판과 뒷판이 옆판에 잘 접합될 수 있도록 접합부분의 면적을 넓혀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준비된 라이닝(linings)을 옆판을 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옆판의 모양에 맞도록 열을 가하여 휘어준다.

이렇게 준비된 라이닝(linings)을 정확하게 길이를 맞춰 재단을 한 후 옆판의 안쪽 아래 위에 접합 작업을 한다. 라이닝(linings)을 접합할 때는 옆판보다 살짝 높은 높이로 일정하게 접합한다.

라이닝(linings)을 접합할 때에는 빨래집게 같은 것을 사용하기도 하고 위의 사진처럼 클램프를 사용하여 접합하기도 한다. 클램프를 사용할 때에는 클램프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옆판이 그 무게 때문에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클램프를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어서 아교를 건조시킨다. 이렇게 양쪽의 라이닝(linings)의 접합이 끝나면 옆판보다 높게 나와있는 라이닝(linings)을 대패로 다듬어 옆판과 같도록 만들어 준다. 이 과정까지 끝나면 옆판은 완성된 것이다. 이렇게 옆판이 완성이 되면 완성된 옆판을 기준으로 앞판과 뒷판의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